본문 바로가기

게임 이야기

게임 질병 일까? 오히려 뇌 질환 예방한다.

 

 

게임 중독이 질병이면 유튜브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 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면서 지난 5월 정부는 관계 차관회의를 개최해 게임이용 장애 질병코드 부여를 논의하기 위한 민‧관 협의체 구성을 밝힌 바 있다.

 

요즘은 청소년들이 게임보다 유튜브와 동영상에 더 빠져들고 있는 상황에서 게임 중독을 질병화 한다면 “유튜브 중독”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도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게임”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며 보도로 이어지는 반면에 오히려 게임으로 인해 뇌 질환이 예방된다는 “놀라운”결과가 나왔다.

 

지난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9 콘텐츠 분쟁조정 포럼’에서는 “비디오 게임이 뇌 질환을 막는다”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서울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2019 콘텐츠 분쟁조정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이경민 교수는 “게임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 라며 상충되는 의견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모두 다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사실들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라고 운을 뗐다.

 

이 교수는 "비디오 게임에 대한 오해로 뇌가 파괴된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라며 "세계보건기구(WHO)가 전혀 다른 목적으로 설정한 질병코드를 놓고 사회적 분쟁이 있다. 

 

이 분쟁은 비디오 게임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됐다"라고 설명하면서 "뇌질환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행복 추구의 요소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행복추구 측면에서 우리 “뇌의 노화과정인 질병이 생기는 과정을 막는데 비디오 게임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나이가 들수록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없는 뇌에게 ‘게임’은 의지력· 감성· 인지 발달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을 이용해 보건 의료적 효과로 적극 발전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경민 교수는 ‘게임 중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게임 소비를 “과도하게 하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는데, 이를 게임 중독이라는 프레임을 씌우는 순간 해결 방안과 원인 분석이 협소하게 된다”라고 말했다.